삼성전자, 글로벌 반도체 매출 2위..."1위는 인텔"

송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7 13:28:16
  • -
  • +
  • 인쇄
엔비디아는 AI 열풍으로 사상 첫 5위권 진입

[세계타임즈 = 송민수 기자] 삼성전자가 2년 만에 전 세계 반도체 매출 1위 자리를 인텔에 내줬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엔비디아는 사상 첫 5위권에 진입했다.

17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매출 총 487억 달러(약 65조2700억원)으로 399억 달러(53조4800억원)를 기록한 삼성전자로부터 1위 자리를 탈환했다.

인텔의 지난해 성장률은 전년 대비 16.7% 감소했지만 삼성전자가 더 큰 폭(37.5%) 감소하며 선두 자리를 꿰찼다.

지난해 시장 점유율은 인텔 9.1%, 삼성전자 7.5%로 나타났다.

3위는 290억 달러의 퀄컴, 4위는 256억 달러의 브로드컴이 차지했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매출이 56.4% 성장해 총 240억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처음 상위 5위권에 진입했다. 이는 AI 반도체 시장에서 선도적인 입지 덕분으로 풀이된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3계단 상승한 8위를 차지하며 2019년에 기록했던 순위를 되찾았다. 2023년 매출은 자동차 부문에서의 강력한 입지를 기반으로 7.7%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전년 대비 11.1% 감소한 5330억 달러(714조4800억원)를 기록했다.

특히 메모리 제품 매출은 37% 하락하며 반도체 시장 부문에서 가장 큰 폭을 감소했다.

조 언스워스 가트너 애널리스트는 “D램과 낸드플래시 3대 시장인 스마트폰, PC, 서버가 지난해 상반기 예상보다 약한 수요와 채널 재고 과잉에 직면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D램 매출은 38.5% 감소한 총 484억 달러, 낸드 매출은 37.5% 감소한 362억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비메모리 매출은 3% 감소하는데 그치며 선방했다. 시장 수요 약세와 채널 재고 과잉이 연중 내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하락했다는 설명이다.

언스워스 애널리스트는 “메모리 공급업체와 달리 대부분 비메모리 업체는 비교적 양호한 가격 환경에 있었다”며 “가장 강력한 성장 동력은 AI 애플리케이션용 비메모리 반도체 수요다”며 “전기차를 포함한 자동차 부문, 국방 및 항공우주 산업 등이 대부분 다른 부문을 능가하는 성과를 보이며 매출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