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세계타임즈 장경환 기자] 부산광역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최도석의원(서구2, 국민의힘)은 16일 열린 제297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선진 해양도시들은 해상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하여 고용창출 등 해양경제공간으로 창출하고 있는데 반해 부산은 내륙도시계획에만 치우쳐 있다고 비판했다.
최 의원은 관광호텔이 들어서야 할 부산의 전망 좋은 바닷가는 고층아파트가 선점해 있고, 오시리아 관광단지 완공 시 내륙교통체증이 불을 보듯 뻔함에도 해상대중교통기능과 해양관광기능을 병행하는 해상버스, 해상항공레저와 같은 해상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하는 교통대책이 전무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민간이 부산의 관광상품으로 해상공연선박을 도입하였으나 부산시의 탁구행정으로 무산되었고, 부산의 민간기업이 약 90억원을 투입하여 크루징 요트 3척을 도입하였으나 관련 공무원 퇴직과 인사이동으로 지원약속은 무산되고 용호만에 방치된 채 폐업만 기다리고 있다고 질타하였다.
최 의원은 위기에 빠진 부산을 구하고 새로운 부산의 미래를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내륙지 개발정책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현재 놀리고 있는 부산의 광대한 해양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해양경제를 창출시켜야 한다며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144년 역사의 북항과 남항 내항의 대대적인 준설과 함께 남항과 북항 배후권을 부산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조기 포함시켜 내륙기인성 해양오염을 원천 차단해 줄 것
둘째, 오염된 항내 해수를 취수원으로 하고 있는 남항·다대포항·대변항 내항의 수많은 수산물 시장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존 방파제 외해의 청정해역에 종합해수취수관”을 설치해 줄 것
셋째, 지방분권 수행능력의 기본토대인 부산시 공무원의 해양분야 전문성 확보를 위해 인재개발원 해양분야 교육프로그램의 개편과 혁신을 위해 노력할 것
넷째, 전국의 해양도시와 연대하는 가칭 “해양도시 분권 협의체”를 구축하여 북항재개발사업을 비롯해 부산이 주도적으로 해양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해양 분권을 위해 앞장 설 것
다섯째, 해양수산부 산하 부산항만공사를 부산시로 이양시켜 부산의 해양산업 발전을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
끝으로 최 의원은 코로나19 여파로 국제크루즈 선박시장 약 절반 가격의 초호화 국제크루즈 선박 매물이 넘쳐나고 있다며 부산시가 포퓰리즘 예산을 절감해 이 중 한 척이라도 도입하여 용호만, 남항 내항 등에 계류시키면 세계적인 해양관광 상품이 될 것이라며 부산시의 적극행정을 주문하였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