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지연 영유아의 조기발견 및 조기지원사업 확대 촉구!

이용우 / 기사승인 : 2023-01-27 23:00:42
  • -
  • +
  • 인쇄
◇ 발달지연 영유아 출현율 매년 증가, 조기발견과 조기개입이 핵심
◇ 예산 및 전문인력, 발달지연 영유아 수요 대비 턱없이 부족
◇ 사업규모에 따른 권역별 지원 및 조례 제정 검토 필요
교육위원회 김창석 위원장, 제311회 임시회 5분자유발언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부산광역시의회 교육위원회 김창석 의원(사상구2)은 27일 열린 제311회 임시회의‘5분자유발언’을 통해 발달지연 영유아의 조기 발견 및 조기지원사업 확대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발달지연 영유아 출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아동의 발달지연 문제를 빨리 발견할수록 조기 개입을 통해 2차 장애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라며,

 부산시 발달지연 영유아의 조기 발견 및 조기지원사업 “우리아이발달지원사업” 확대뿐 아니라 권역별 지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한편, 부산시 2020년 영유아건강검진 전체 수검자 중 10.9%(13,248명)가 ‘정밀평가 필요’진단을 받았으며, 발달장애 장애등록 영유아는 최근 5년간 187명이 증가하였다(첨부 1, 2 참조).
 

 부산시에서 우리아이발달지원단(이하 지원단)을 통해 조기발견 및 조기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고, 성과도 있었으나 현재 발달지연 영유아 수요를 감당하기에 지원단의 예산과 전문인력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김 의원은 이날 발언에서“발달지연 영유아 조기발견 및 지원사업이 국정 과제인만큼 중앙정부에 적극적으로 예산을 요청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한 전문인력 확충, 진단도구의 최신화 등의 지원 및 사업규모에 맞는 전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권역별 지원에 관한 적극적인 검토”와 “서비스 질 제고 및 안정적인 행·재정적 지원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으로서 단계적인 조례 제정 검토”를 요청하였다.

 

[첨부 1] 부산광역시 2020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영유아 검진 결과 현황 

(단위: 명) 

구분

전체

양호

주의

정밀평가 필요

4-6개월

13,779

11,441

879

1,459

9-12개월

14,538

11,528

1,713

1,297

18-24개월

16,696

12,823

2,131

1,742

30-36개월

18,024

14,155

2,122

1,747

42-48개월

19,603

15,270

1,905

2,428

54-60개월

19,678

15,298

2,026

2,354

66-71개월

18,879

14,687

1,971

2,221

전체

121,197

95,202

12,747

13,248

※자료: 통계청, 시군구별 영유아 건강검진 종합판정현황

[첨부 2] 부산광역시 발달장애(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등록 영유아(0-7세) 현황
(단위: 명)
※자료: 복지로 복지통계, 2017-2022.10.기준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