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도 교육청 불용액 1,800억 원 넘어, 전년 대비 세 배에 달해

이용우 / 기사승인 : 2023-06-19 22:51:17
  • -
  • +
  • 인쇄
◈ 이종환 의원, 결산 예결위 과정에서 과다 불용액 질타, 불용액 비율은 1.1%→2.8% 급증
◈ 결산추경 때 반납않고 결산에서야 불용처리하는 것은 타 사업들의 기회마저 빼앗은 것
◈ ’22년도 지출잔액인 651억5천만 원만 하더라도, ’21년도 전체 불용액을 초과하는 액수
◈ 올해는 불용예산이 결산추경 때 정리되게끔 교육청의 예산집행 과정을 세심하게 챙겨나갈 것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부산광역시의회 이종환 의원(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사진)이 2022회계연도 부산시교육청 세입·세출 결산 종합심사 과정에서, 부산시교육청의 ’22년도 불용액이 1,800억 원이 넘는 사실에 대해 부산시교육청을 질타하였다.


이종환 의원은 “결산서를 확인한 결과, 작년 한 해에만 1,800억 원을 상회하는 과다한 불용액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21년도 불용액 601억 여원의 세 배에 달하는 금액이다.”라며, “예산현액 대비 불용액 비율을 보면, ’21년도에 1.1%이던 것이 단 1년 만에 2.8%로까지 급증하였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불용액 현황]

(단위 : 백만원, %)  

연도

예산현액

(A)

지출액

(B)

다음연도 이월액

불용액

금액(C)

비율(C/A)

금액

(D=A-B-C)

비율(D/A)

2022

6,393,829

6,078,234

135,544

2.1

180,051

2.8

2021

5,278,655

4,979,714

238,772

4.5

60,169

1.1


이에 부교육감이, ’22년도 예산현액 규모 자체가 한 해 전보다 1조 원 넘게 증가하였기에 불용액도 그에 따라 늘었다는 취지로 답변하자, 이 의원은 “’22년도 기금 전출금이 1조 1,685억 원으로, 예산현액 증액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기금 전출금을 제외하면, 실제 교육청에서 사업비나 운영비 등으로 운용한 예산액은 ’21년도와 크게 다르지 않기에, 이는, 불용액이 1년 만에 세 배에 이른 것에 대한 핑계거리가 될 수 없다.”라고 분명하게 지적했다.
 

[기금 전출금 현황]

(단위 : 백만원)  

 

2022

(A)

2021

(B)

증감액

(A-B)

합 계

1,168,500

225,000

943,500

통합교육재정안정화기금

670,000

0

670,000

교육시설환경개선기금

258,000

225,000

33,000

남북교육교류협력기금

500

0

500

교육정보화기금

240,000

0

240,000

 

  부교육감이 이어, 코로나 재유행과 보조금 교부결정 시기(’22년 하반기)를 그 사유로 들자, 이종환 의원은 “설사 그렇다고 하더라도, 불용이 예상되는 예산에 대해서는 마지막 결산추경 때라도 반납하여 감액처리했어야 한다. 하지만 그러지 않은 것은 교육청의 명백한 잘못이다.”라며, “단돈 1천만 원이 없어 예산반영이 되지 않는 사업들도 허다하다. 결산추경 때 정리할 수 있었음에도 결산 시기에 이르러서야 불용처리하는 것은 다른 사업들의 기회마저 빼앗은 것이다.”라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 의원은 “본 의원이 ’22년도 불용액 발생원인을 파악해본 결과, 지출잔액이 36.2%, 낙찰차액이 30.5%를 차지하였다.”라며, “특히, 36.2%를 차지하는 지출잔액 651억5천만 원만 하더라도, ’21년도 전체 불용액인 601억 여원을 초과하는 액수이다.”라고 날을 세우며, “지출잔액이 이렇게나 늘었다는 것은, 예산 편성시부터 사업비가 과다하게 편성됐거나, 사업 추진이 당초 계획과는 달리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결과 ’22년도 불용액이 1,800억 원을 상회하기에까지 이른 것이다.”라고 지적하였다.
 

[불용액 발생원인별 현황]

(단위 : 백만원, %)  

 

2022

(A)

2021

(B)

증감액

(A-B)

합 계

1,168,500

225,000

943,500

통합교육재정안정화기금

670,000

0

670,000

교육시설환경개선기금

258,000

225,000

33,000

남북교육교류협력기금

500

0

500

교육정보화기금

240,000

0

240,000


그는 “낙찰차액도 불용액의 30.5%를 차지하며 549억 여원이나 발생하였는데, 낙찰차액이라는 것이 입찰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발생하는 부분이라고 하더라도 549억 여원은 과도하게 큰 금액이고, ’21년 대비 426억 여원이나 증가한 것이며, 증가율로 따지면 348%에 이른다.”라며, “예산편성 단계부터 낙찰차액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라고 교육감에게 제안하였다.

이종환 의원은 질의를 마무리하며, “앞으로는 과다한 불용액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도록, 예산 편성시부터 소요예산을 정확하게 산출하여 과다편성되지 않도록 하고, 사업계획 수립시부터 연내 발생가능한 변수들을 세밀하게 반영해야 한다.”라며, “올해는, 불용예산이 결산추경 때 미리 정리될 수 있도록 교육청의 예산집행 과정을 세심하게 챙겨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