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춤형정책 발굴, 국가사업 연계, 융자지원 확대, 관광기금 활용 등 강조
[부산=세계타임즈 장경환 기자] 부산광역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이주환 의원(더불어민주당, 해운대 제1선거구)은 23일 열린 제289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부산시에 지역 여행업체의 구조요청에 응답하라고 요구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보고서와 신용카드사의 매출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여행사 및 관광운수업’의 기업경기실사지수는 17.7로 전분기 대비 62.1p 하락했고 카드 매출액 감소 1위는 여행사이다.
이 의원은 경제, 사회 전반에 걸친 코로나19의 그림자는 여행업계에 더 짙게 드리우고 있다며 사실상 휴업 상태인 여행업계의 어려움을 전했다.
이 의원은 부산시가 추진한 여행업 위기극복 프로젝트가 업체당 최대 100만 원에 그친 점, 총 3억 원이 투입된 관광기업 콘텐츠 공모사업이 지역관광상품 개발에만 집중한 점, 트레킹 챌린지 등 부산관광공사의 사업 대부분이 FIT(개별자유관광)위주로 구성되어 여행사의 개입여지가 없는 점 등을 들어 부산시의 각종 지원 정책과 사업이 지역 여행업체를 살리기엔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도 대부분의 소비가 외식업과 도소매업에 집중되어 여행업계에는 그저 다른 세상 이야기에 불과했다고 밝히며, 이대로 가면 지역 여행업체의 줄도산을 막기 어렵고, 그전에 막지 못하면 그다음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의원은 업종과 시기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여행업은 일반 기업과 차별화된 지원이 필요하다며 먼저, 부산연구원 등을 통해 여행업 실태 전수조사를 시행하고 업체 선별을 통한 정확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발굴할 것을 주문했다.
아울러 지역업체들이 문체부에서 추진하는 관광진흥개발기금 융자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부산시가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다른 국가 지원 사업에도 관내 모든 업체가 참여할 수 있게끔 국가 정책과 지역업체를 잇는 별도의 장치 마련을 촉구했다.
부산신용보증재단에 대해서도 부실 가능성 축소에만 집중하다가 재정 여건 등이 열악한 소규모 업체들을 외면하는 일이 없도록 부산시와 협의하여 기준을 완화해 나갈 것을 당부했다.
현재 설치가 진행 중인 관광 개발 및 진흥 기금도 여행업계의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우선적으로 또 다방면으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발언을 마치며 이 의원은 장기전에 돌입한 코로나19처럼 여행업의 위기도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지역여행업체 없이 국제관광도시 부산도 없는 만큼 부산시가 결코 손을 놓지 않기를 재차 부탁했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