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균형발전의 키워드로 활용 가치 있는 ‘15분 도시’
- 가까이 일하고, 즐겁게 배우며, 편안하게 쉬고, 건강하게 사는 걷기 중심의 삶
- 도보와 자전거 이용으로 탄소중립도시 지향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부산형 ‘15분 도시’가 탄소중립도시를 위한 정책을 넘어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발판으로 쓰임새를 찾았다.
부산광역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송상조 의원(국민의힘, 서구1)은 1일 열린 제320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15분 도시 부산’을 통해 부산 전역이 특색있는 생활권을 형성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기를 당부했다.
‘15분 도시’는 파리의 안 이달고(Anne Hidalgo) 시장의 2020년 선거 공약으로, 콜롬비아 학자 카를로스 모레노(Carlos Moreno) 교수가 고안한 아이디어이로, 디지털 대전환에 대응하고 일상 속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보행 중심의 라이프스타일 전환 정책이다.
이 아이디어를 차용한 부산시는 2021년 ‘부산혁신 제1호 공약(15분형도시의 재구성)’발표를 시작으로 모레노 교수와 정책토론회를 거치며 도보와 자전거 등으로 생활, 일, 상업, 의료, 교육, 여가 등 6가지 필수 기능을 15분 안에 수행할 수 있는 도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과제를 수행 중이다.
송상조 의원은 대표생활권과 시범생활권을 조성하는 ‘15분 도시 부산’의 핵심사업 해피챌린지가 부산 전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다양한 모델을 형성해야 한다며, 사업추진을 위해 교육청ㆍ철도공단 등 유관기관과의 협업과 정책 공조를 주문했다.
또한, 공공시설의 질적 전환을 통한 다기능 복합 생활서비스 제공 필요성을 강조한 송상조 의원은 지난 3월 부산환경공단이 ‘15분 도시 부산’비전에 발맞춰 시민 여가와 휴식을 위해 공단 처리장 내 체육시설과 환경공원 개방을 예로 들어 학교시설 개방을 제안했다.
들락날락, HA-HA센터 등 부서별 개별 과제는 생활권 특성에 따라 전략적으로 배치하고 담당부서 자체 예산으로 편성ㆍ추진하고있으나, ‘15분 도시’라는 공통의 목표를 향한 사업인 만큼 컨트롤타워가 필요해 보인다.
그동안 “뭘 하겠다는 건지 알 수 없는 공약”이라는 비판과, 이동편의를 추구하는 ‘15분’으로 오해를 받아온 ‘15분 도시 부산’을 다양한 시각으로 검토할 수 있어 부산시민들에게 속 시원한 정책 풀이 과정 시간이었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