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청에서도 장학관 배치하여 의지 보여야
[부산=세계타임즈 장경환 기자] 지역과 학교가 협력하는 지역교육공동체를 구축하여 공교육 혁신, 교육격차 해소, 지역 동반성장을 추구하는 ‘다행복교육지구’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각 지구의 단체장과 동장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각 센터의 인력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부산시의회 김정량 의원은 19일 열린 부산시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다행복교육지구 운영에 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을 촉구했다.
다행복교육지구(혁신교육지구) 사업은 혁신학교(다행복학교)의 연장선상으로 지난해 5개 지구(*사하구, 영도구, 동구, 북구, 사상구)를 대상으로 출발했다. 올해는 부산진구와 연제구 2개 지구가 추가되어 부산지역 16개 구.군 중 7개 지역이 지정.운영되고 있다.
부산시교육청은 지난 7월 보도자료를 통해 ‘2020년 신규 다행복교육지구 지정’ 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으나 최근 제출자료에서 내년 신규지정 지역이 없다고 밝혔다.
다행복교육지구 사업의 ‘지속성’과 ‘자생력’ 확보를 위한 노력 또한 미흡한 상황이다. 다행복교육지구가 교육청/지자체/학교/지역주민 간 유기적 협력체계를 통해 교육의 공공성을 확대하고 교육격차 해소 및 지역의 교육생태계를 조성해나가기 위해서는 한시적 사업이 아닌 지속적인 운영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모양새로는 사업의 성공적 안착을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컨트롤타워 기능을 담당해야 할 부산시교육청에는 총괄 단위의 협력사업 추진.조정, 모니터링 및 평가, 피드백을 통한 장기적 관점의 사업방향 재조정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중심기구인 ‘운영위원회’조차 구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각 주체의 책임을 규정하는 다행복교육지구 조례는 부재하고, 전문적 지원 및 컨설팅 시스템 또한 갖추지 못하고 있다. 현장에서는 인력보완과 예산 부분의 애로를 호소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올해부터 25개 모든 자치구가 ‘서울형혁신교육지구’로 확대되었으며 서울시교육청/서울시/자치구가 각각의 조례를 제정하여 법적기반을 구축하고 각 주체별 적극적 역할을 담보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이에 김 의원은 “부산지역 모든 지자체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현재 운영중인 각 지구의 가시적인 성공사례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센터장의 직급을 상향하여 추진동력을 확보하고 교육청에서도 장학관을 파견하여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