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선수는 동지역 편중, 통학 및 진학 어려움 호소…계속되면 외부 유출 심각

[세종 세계타임즈=이채봉 기자] 세종 관내 초‧중‧고교 연계된 학교 운동부 종목이 불과 5종목인데다 특히 중학교 운동부는 동(洞) 지역에 전무해 선수 육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세종은 체육중‧고교가 없어 ‘운동부 사다리 없는 구조’가 계속될 경우 외부 유출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종특별자치시의회 부의장인 김효숙 의원(나성동, 더불어민주당)이 27일 세종시교육청에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관내 학교운동부는 2025년 9월 현재 총 11개 종목, 21교에서 총 262명(초 142명, 중 78명, 고 42명)이 활동 중이다.
이 중 초‧중‧고교로 연계된 종목은 ▶육상 ▶레슬링 ▶테니스 ▶검도 ▶씨름 등 5개 종목이다. 대부분이 읍면지역 초‧중‧고교에 위치하면서 동지역 대다수 학생들이 진학 및 통학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중학교의 운동부의 경우 모두 읍면지역에 위치해 있다.
학생 선수 수가 가장 많은 육상의 경우, 조치원 대동초 31명, 양지초 18명이 활동 중이며, 조치원세종중(15명)과 한솔고(3명)로 이어진다.
레슬링은 조치원신봉초(8명)‧연서중(8명)‧두루고(11명), 테니스의 경우 조치원명동초(7명)‧금남초(14명)‧연서중(7명)‧세종여고(0명), 검도는 조치원신봉초(8명)‧조치원중(22명)‧세종고(12명), 씨름의 경우 전의초(13명)‧전의중(4명)‧세종고(2명)로 연계돼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육상의 경우, 실제 조치원의 세중종으로 진학하는 학생 선수가 조치원대동초는 2025년 3명, 2026년(입학 예정) 3명인데 반해 양지초는 2025년과 2026년 모두 0명이다.
김효숙 의원은 “많은 수의 학생 선수가 동 지역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계된 학교 모두 읍면지역에 위치하면서, 선택의 폭이 매우 좁고 통학 및 진학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라며 “이렇게 열악한 여건임에도 불구하고 학교 운동부의 신설은 학교장 재량 등의 이유로 거의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시 학생운동부의 열악한 여건과 낮은 관심도는 대전시 학생 선수 숫자와 비교하면 여실히 드러난다. 세종시 초‧중‧고교 학생수 중 학생 선수 비율은 0.42%(62,245명 중 262명)에 불과한 반면 대전시 초‧중‧고교 학생수는 1.31%(149,842명, 1,964명)로 3배 넘게 차이 난다.
학교운동부 운영 학교도 세종시 초등학교는 18%(55곳 중 10곳), 대전시 초등학교는 34.2%(149곳 중 51곳)로 차이가 2배에 달한다. 특히 세종시 중학교는 17.8%(28곳 중 5곳)만 학교 운동부를 운영하는 반면, 대전시 중학교는 77%(74곳 중 57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효숙 의원은 “전문적으로 운동하려는 학생들이 학교 운동부가 없다는 이유로 재능과 의지가 꺾이고, 진학을 위해 멀리 타지역으로 이사가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며 ”인근 지역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발생하는 만큼 세종시교육청의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