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서 39% 급등 단지도마포·성동 보유세는 10%대 상승 전망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전문위원 세금 모의 계산을 해보니, 서울 주요 단지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는 많게는 39%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올해 집값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지역인 서초구 반포동의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84㎡를 보유한 1주택자의 내년 보유세 추정치는 1천408만원으로 나왔다. 올해 납부 추정액(1천161만원)보다 247만원(21.3%) 증가한 규모다.보유세 추정치는 올해 9월 실거래 시세에 올해 공시가격의 시세 반영률, 공정시장가액비율 60%(재산세는 45%)를 적용해 산출했다.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전용 84㎡는 2025년 보유세가 1천331만원으로 올해보다 372만원(38.8%) 오를 것으로 추산됐다.지난해 12월 이 아파트 실거래 시세는 33억원이었는데 올해는 42억원 수준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82㎡의 경우 올해 보유세 납부 추정액이 581만원인데, 내년은 729만원으로 147만원(25.3%) 늘고, 강남구 은마아파트 84㎡는 527만원에서 629만원으로 101만원(19.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병탁 위원은 강남권을 포함한 서울 아파트는 시세 상승 폭이 꽤 컸고, 이는 고스란히 공시가격 인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며 2025년 보유세가 15∼25% 오르는 단지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강남권 못지않게 집값이 뛴 서울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아파트 소유자의 보유세 역시 10% 이상 오를 수 있다.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전용면적 84㎡를 보유한 1주택자는 2025년 보유세 추정액이 275만원으로 올해 추정 납부액(239만원)보다 15%(35만8천원)가량 오른다.
성동구 왕십리텐즈힐 84㎡의 경우 보유세가 올해 추정치인 197만원에서 2025년엔 224만원으로 13.4%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시세가 하락한 지방 중저가 아파트의 경우 내년 보유세가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지방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올해 들어 9월까지 0.46% 떨어졌다.이 기간 대구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 하락 폭이 2.03%로 가장 컸고 광주(-1.9%), 세종(-1.7%), 전남(-1.6%), 경남(-1.03%), 부산(-0.84%)이 뒤를 이었다.올해 인천과 경기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각각 3.76%, 3.35% 상승했다.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수도권 연립·다세대주택도 아파트 못지않게 가격이 올랐다. 이에 따라 2025년 공시가격이 올해보다 상승하는 곳이 많을 것으로 관측된다.서울의 연립·다세대주택 실거래가 지수는 지난해 연간 0.44% 상승에 그쳤으나 올해는 9월까지 누적으로 6.15% 올랐다.전국 연립·다세대 실거래가도 같은 기간 3.06% 상승했다.2025년 공시가격은 올해 말 시세를 반영해 내년 초 결정하기에, 보유세 규모는 집값 변동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