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용 PPA 활성화 △ 그린캠퍼스 사업 고도화 △ 냉방설비 규제 완화 등 제안
[세계타임즈 = 심귀영 기자]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장 위성곤 의원 ( 제주 서귀포시 , 더불어민주당 ) 은 4 일 ( 목 ) 오후 2 시 국회의원회관 제 5 간담회의실에서 < 국내 대학의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정책제언 토론회 > 를 개최했다 . 이번 토론회는 국내 대학의 탄소중립 실행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실행력 있는 정책 기반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
대학은 소규모 도시 수준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동시에 미래세대를 교육하는 공간으로서 , 탄소중립 이행의 필요성과 책임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
위성곤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 대학의 탄소중립 이행은 단순한 온실가스 감축을 넘어 사회적 · 교육적으로 큰 상징성을 갖는다 ” 며 , “ 특히 학생 · 교수 등 모든 대학 구성원이 탄소중립을 실천하고 내재화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 , 탄소중립 이행을 촉진하는 물품 조달방안을 도입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이날 발제를 맡은 전국 대학 탄소중립 학생 협의체는 대학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 교육용 전기사용자 대상 PPA( 전력구매계약 ) 적용 확대 , ▲ 공공기관 냉난방 시설의 전기화 전환 , ▲ 에너지 고효율 연구장비 우선구매 제도 도입 , ▲ 대학기관평가인증 고도화 , ▲ 대학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지원 등을 제안했다 .
특히 협의체 관계자는 “ 대학이 재생에너지를 활용하고 싶어도 교육용 전기사용자는 현행 제도로는 PPA 가 불가능하다 ” 며 , “ 단가 부담으로 개별 추진은 어렵지만 , 미국 MIT 나 영국 뉴캐슬 대학처럼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례를 참고해 한국도 제도적 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고 강조했다 .
이어진 토론에서는 대학 재정 지원 사업이 단순한 일회성 투자에 머물러 , 대학 구성원의 탄소중립 이행 내재화로 이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지적되었다 . 이를 보완하기 위해 ▲ 대학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컨설팅 , ▲ 탄소중립 관련 평가지표 반영 , ▲ 목표관리제 기준 강화 , ▲ 성과 연계형 유인책 마련 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위성곤 위원장은 중단된 환경부 그린캠퍼스 사업과 관련해 “ 환경부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그린캠퍼스 사업이 왜 중단되었는지에 대해 민관이 협력하여 점검할 필요가 있다 ” 고 지적하며 , “ 교육적 필요성이 큰 만큼 환경부는 교육부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