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및 임정수립 100주년, 부산의 문화인식 개선 촉구

장경환 / 기사승인 : 2019-05-10 15:46:11
  • -
  • +
  • 인쇄
부산 사투리 사용, 구술문화 재현 위한 새로운 시도
한전 구조물 문학작품 훼손·방치, 순국선열 기념 문화재 관리 소홀해
“선조의 정신·기상 되살리려면 체계적인 행정 뒷받침 돼야”
이순영 의원, 부산시의회 임시회 5분자유발언서

[부산=세계타임즈 장경환 기자] 부산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순영 의원(북구4)은 오는 제277회 임시회 본회의(5월 10일)에서 부산의 문화인식 개선을 촉구할 예정이다.  

 

 특히 이 의원은 이번 5분자유발언을 통해 부산 사투리의 억양과 어조를 그대로 살려서 발언하고, 속기(速記) 또한 입말로 기록에 남김으로써 구비전승되는 구술문화의 재현은 물론, 시의회 사상 최초의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먼저, 이 의원은 중앙대로에 설치된 한전 구조물의 문학작품이 훼손·방치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이러고도 부산시가 과연 문화도시라고 말할 수 있는가를 반문한다.  

 

 또한 이 의원은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올해 부산시에서도 다양한 행사를 진행해 왔으나, 정작 순국선열의 기념 문화재에 대한 관리·감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지적한다.  

 

 ‘건국의 어머니’라 불리는 독립운동가 박차정 의사의 생가가 복원된지 14년이 지난 지금도 진입로 확장을 비롯한 관리가 허술할 뿐 아니라 2016년부터 논의된 충렬사 복원문제도 지적했다.  

 

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양통한(梁通漢 1559~ ?) 장군의 묘소가 만덕 지하철역에서 5분 거리에 있고, 그 맞은편 산자락에도 김기(金琦 ?~1592) 장군의 묘소가 있지만, 이에 대한 팻말이나 안내문 하나 찾아 볼 수 없다.  

 

 한편, 독도영유권을 주장한 안용복(安龍福 1693~1696) 장군이 부산 동구 사람이라는 사실이 의외로 알려져 있지 않아 이에 대한 폭넓은 홍보도 필요한 실정이다.  

 

 이에, 이 의원은 “수백 년 전부터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쳤던 선조들의 정신과 기상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문화재 관리와 문화인식을 개선하는 보다 체계적인 행정적 뒷받침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