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위원장 민경배)가 최근 대전지역 청년세대를 대상으로 ‘대전광역시 청년정책 활성화를 위한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다. 여론조사는 일자리 정책, 주거 정책, 복지‧문화정책, 참여‧권리 정책, 교육 정책 등 5개 정책 분야로 구분해 진행했다.
청년지원정책들 가운데 중요도를 묻는 질문에 대전 청년들은 일자리 정책(43.2%)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이어 주거 정책(39.2%), 복지‧문화 정책(14.1%), 교육 정책(1.9%), 참여‧권리 정책(1.5%) 순으로 꼽았다. 일자리 정책과 주거 정책이 모두 합해 82.4%에 달할 정도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일자리‧주거 정책 관련 세부사업들에 대한 대전 청년들의 관심과 체험을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인지도 대비 참여경험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정책의 세부사업별 응답분포의 경우 ▲대전청년내일희망카드(인지도 81.5% 참여경험 68.4%) ▲청년인턴 지원(인지도 39.5%, 참여경험 14.5%) ▲청년창업지원카드(인지도 25.7%, 참여경험 12.4%) ▲구직청년 면접용 정장대여(인지도 39.3%, 참여경험 13.3%) 순으로 집계됐다.
주거 정책의 세부사업별 응답분포는 ▲대전청년월세 지원(인지도 62.3%, 참여경험 42.0%) ▲청년맞춤형 공적 임대주택 공급(인지도 41.9%, 참여경험 29.1%)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이자 지원(인지도 30.1%, 참여경험 30.7%) 순으로 파악됐다.
정책사업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청년들은 만족 19%, 불만족 24.5%, 보통 56.5%로 응답해, 불만족이 만족보다 5.5.%포인트 높았다.
향후 참여 의향이 있는 정책사업을 묻는 질문에 청년들은 일자리 정책(75.5%)과 주거 정책(74.2%)을 많이 꼽아, 일자리와 주거에 대한 청년층의 높은 열망을 내비쳤다.
대전 청년들은 청년지원정책사업에 대한 홍보의 중요성도 꼽았다. 대전시 청년정책사업에 대한 의견을 주관식으로 물은 결과 ‘홍보 활성화’ 등 사업홍보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37.4%로 달했다.
이에 따라 2030세대의 특성에 맞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포털사이트 등을 활용한 온라인 홍보를 확대하고, 입소문을 통해 실효성을 높이는 등 청년지원정책사업에 대한 다각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민경배 위원장(국민의힘, 중구3)은 “여론조사에 깊은 관심을 보여주신 청년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청년정책에 대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실효성 있는‘청년 맞춤형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의정활동을 펼쳐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여론조사는 대전시의회가 대전시의 청년지원정책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실효성 있는 청년정책 활성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했다.
여론조사는 지난 9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대전에 거주하는 만 20~39세 남‧여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포인트, 응답률은 32.3%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