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에서 개최하는 회의 전방에 대한 대대적인 진단 필요
◇ 창의적, 생산적인 회의 운영 방식과 회의에 부합하는 전문가 참여로 회의운영의 생산성 및 행정의 신뢰도 높여야
복지환경위원회 최도석 의원, 제308회 임시회 5분자유발언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최도석 의원(국민의 힘, 서구2)은 26일 열린 제30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5분자유발언’을 통해 부산광역시의 행정 낭비적인 회의 전반에 대해 지적하고 대대적인 진단과 이에 따른 혁신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부산시는 본청·직속기관·사업소와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에는 약 434개의 각종 위원회를 두고 있으며, 연간 평균 560회의 각종 위원회를 개최하고 있다.
최 의원은“부산시 본청 위원회의 약 43%를 시장·부시장이 회의를 주재하고, 실국장이 위원장을 맡고있는 위원회까지 포함하면 부산시 전체 위원회의 약 80%를 공무원이 직접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며 행정력 낭비를 지적했다.
이 외에도 외부 기관단체에서 요청하는 축사, 격려사를 비롯한 각종 회의 참석(행정부시장, 실국장 연간 평균 260회)까지 포함하면 부산시 고위 공무원들의 과다한 회의 참석 시간, 이에 따른 회의 참석 수당이 연간 약 3억 7천만원에 이른다며‘회의도시 부산시’ 행정으로는 더 이상 부산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부산 발전을 위해서는 회의 전반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며, 시장·부시장을 비롯한 고위 간부들은 외부 기관단체 주관의 관례적인 회의 참석을 자제해 줄 것”을 제언했다.
또한 “창의적· 생산적인 회의 운영을 위해 회의자료 사전 전달, 회의 주제에 부합되는 전문성을 우선으로 고려한 참석자 선정, 단순 자문회의의 경우 서면 자문의견 제출 방식 확대, 윗사람 회의 주재의 답.정.너. 회의 관행 바로잡기를 위해 부산시의 종합적인 진단과 내부 설문조사를 통한 공공기관 회의 혁신과 구조 조정을 통한 회의 운영의 생산성과 행정의 신뢰도를 높일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