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무니 없는 관리실패로 터무니도 없어진 교목

이용우 / 기사승인 : 2022-08-28 14:58:07
  • -
  • +
  • 인쇄
◇ 수령 60년 이상의 부산교육대학교 교목 20여 그루 흔적도 없이 사라져..
◇ 탄소중립 목표로 도시숲 조성에 매년 막대한 예산 사용하면서 멀쩡한 나무가 고사하고 벌목되는 사태는 막지 못하는 실정
◇ 헌법 제35조 환경보전 의무, 국립대학도 예외가 될 수는 없어 재발 방지대책 고민해야
해양도시안전위원회 안재권 의원, 제308회 임시회 5분자유발언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부산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원회 안재권 의원(연제구1)은 26일 제308회 임시회 본회의 5분자유발언을 통해 올해 부산교육대학교에서 발생한 교목 20여 그루 벌목 논란과 관련하여, 자연환경 보전 의무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고 재발 방지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지난 6월, 부산교육대학교의 상징과도 같았던 수령 60년의 히말라야시다 나무 20여 그루가 고사하여 벌목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학교측은 생육불량에 의한 고사로 태풍 발생시 안전 위험 때문에 벌목하였다고 밝혔으나, 일부 전문가들은 과도한 가지치기로 인해 멀쩡한 나무를 고사시켰다고 주장하기도 했으며 이는 일부 언론을 통해 보도되기도 했다.
 

 안재권 의원은 벌목된 나무들이 과거 가지치기 당시부터 몸통만 남기고 잔가지들을 모두 쳐내면서 전문가들의 우려 목소리가 높았다며, “당시 푸르렀던 교목이 한순간에 벌거벗은 모습이 마치 ‘닭발’처럼 흉하다고 빈축을 사기도 했다.”고 밝혔다. 

 

고사 <>

무리한 가지치기 이후

고사 <>

 

 한편, 나무의 소유자인 대학교는 나무를 베어내고 불과 며칠이 지나지 않아 ‘교통안전인프라 구축공사’라는 명목으로 회전교차로 설치계획을 홈페이지에 공지하였으며, 이에, 일부 시민들은 “공사를 위해 교목을 고의로 훼손한 것이 아니냐며 원통한 심정을 표현한다.”고 전했다.
 

 또한, 교목이 고사하고, 시민들은 쉼터를 잃고, 학생은 교정의 추억을 잃었는데도 학교나 조경업체 누구하나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며, “탄소중립을 목표로 도시숲 조성에 매년 많은 예산을 사용하고 있는 부산시마저도 금번 수십그루의 교목 벌목사태에는 행정적 권한과 책임이 없다고 선을 긋기에 급급하다.”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안 위원장은 헌법 제35조 ‘국가와 국민의 환경보전 의무’를 당부하면서, 자연환경 보전 의무에는 국립대학도 예외가 될 수 없음을 재차 강조했다.
 

 아울러, 지난 2008년 숭례문 복원에 사용할 금강소나무를 벌목하면서, 당시 문화재청 담당 공무원이 ‘나무가 중요한 목재로 사용됐다는 내용을 숭례문과 광화문의 상량문에 담아 후손들에게 영원히 전하겠다.’며 주민들의 마음을 달랜 사례와는 너무나 비교된다며 안타까움을 전하면서 다시는 이와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 방지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