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을 위한 관계회복 숙려제 등 관계조정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 [서울 세계타임즈=이장성 기자]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25. 4. 14.(월)~5. 13.(화)까지 관내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관련 경험·인식 등을 온라인으로 조사한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2025년 학교폭력 피해응답률은 2.9%로 2024년 2.4%에 비해 0.5%p 증가하였다.
전년도에 비해 초등학교는 0.6%p 증가, 중학교는 0.5%p 증가, 고등학교는 0.2%p 증가하였다.
피해 유형별로 보면 ‘언어폭력’이 39.1%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집단따돌림(17.1%)’‘신체폭력(15.1%)’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피해 장소로 보면 교실 안(56.7%), 복도, 계단(29.8%)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으며, 피해 시간으로 보면 쉬는 시간(59.2%), 점심 시간(35.3%)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학교폭력 가해응답률은 1.1%로 2024년 0.9%에 비해 0.2%p 증가하였다.
전년도에 비해 초등학교에서는 0.3%p, 중학교에서는 0.2%p 증가하였고, 고등학교는 작년도와 동일하였다.
학교폭력 목격응답률은 7.2%로 2024년 5.9%에 비해 1.3%p 증가하였다.
전년도에 비해 학교급별로 초등학교는 1.7%p 증가, 중학교는 1.5%p 증가, 고등학교는 0.9%p 증가하였다.
목격시 반응으로는 ‘피해학생에게 위로와 도움 주기’가 34.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아무 것도 하지 못했다(31.2%)’,‘주변 어른에게 알리거나 신고하기(16.7%),‘가해자 말리기(16.6%)’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에서는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교육적 해결을 통해 학생들이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돕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025년 9월부터 처벌 중심이 아닌 교육적 해결과 관계 회복을 우선하여 경미한 사안이 많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관계회복 숙려제’시범교육지원청을 운영하고 있다.
초등학생 뿐 아니라 중학생, 고등학생도 학교폭력이 발생했을 경우 당사자의 동의를 거쳐 관계조정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개별 상담, 당사자 간 조정 및 화해, 관계회복의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교육적 관점의 해결과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신학년 학기 초, 같은 반 친구와 긍정적 또래문화를 만들어 주기 위해 관계가꿈 전문단체(38개, 633명)를 관내 191교 1,081학급으로 직접 보내 학급 단위 관계맺기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특히, 학교폭력 발생 비율이 높은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집중적인 예방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학기 중, 강의 위주의 학교폭력 예방교육에서 학생 참여 중심의 문화 예술 공연(뮤지컬)을 통한 예방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패러다임을 다양화하는 시도도 모색하였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경향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앞으로도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사이좋은 관계가꿈 프로젝트」를 내실 있게 추진하여 평화로운 학교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