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 복지정책과가 부산복지개발원을 기능 전환하기에 앞서, 17년 간 축적해온 복지분야
연구보고서의 인계와 게시를 제대로 챙기지 않았음을 지적
◈ 소속 연구원들조차 직접 요청하거나, 부산사회서비스원에 개별연락해 연구보고서 받아보고 있는 실정
◈ 연구보고서를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어떠한 안내도 없어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부산광역시의회 이종환 의원(복지환경위원회, 강서구)이 부산복지개발원이 부산사회서비스원으로 기능 전환된 지 1년이나 지났음에도, 무려 17년 간 부산복지개발원에서 축적해왔던 연구보고서들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있는 부산시를 질타하였다. 부산시 복지정책과가 부산복지개발원을 기능 전환하기에 앞서, 부산시 복지분야 연구기관으로서 17년 간 축적해온 연구보고서의 인계와 게시를 제대로 챙기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당시 부산복지개발원에 소속되어 근무했던 연구원들조차도, 부산복지개발원 타 연구원이 수행했던 연구 결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시 연구를 직접 수행했던 연구원에게 직접 요청하거나, 부산사회서비스원에 개별적으로 연락하여 해당 연구보고서를 받아보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이 이 의원의 설명이다.
부산복지개발원은 부산시 출연기관 중 하나로서 부산시 복지정책과에서 그 운영을 지도·감독해온 기관이다. 부산시 공공기관 통·폐합 결과, 지난 해 3월 부산사회서비스원으로 기능 전환된 바 있다.(부산복지개발원의 시정 연구 기능은 부산연구원으로 일원화되었음.)
이종환 의원은 “2006년에 설립된 부산복지개발원은 지난 해 기능 전환되기 전까지 17년 간 복지분야 연구들을 수행해온 부산시 출연기관이다. 그간 수많은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연구보고서를 부산복지개발원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공개해왔다.”라며, “그런데, 지난 해 3월 부산사회서비스원으로 기능 전환된 이후 1년이나 지났고 부산복지개발원 홈페이지는 폐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부산복지개발원에서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공개해왔던 연구보고서들을, 지금까지도 시민들께 공개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큰 문제이다.”라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부산복지개발원 연구보고서를 활용해오던 대학(원)생, 연구원, 일반시민 등에게 불편함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이종환 의원의 설명이다.
이어, “이러한 문제가 1년 넘게 이어지다 보니, 당시 부산복지개발원에 소속되어 근무했던 연구원들조차도, 부산복지개발원 타 연구원이 수행했던 연구 결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시 연구를 직접 수행했던 연구원에게 직접 요청하거나, 부산사회서비스원에 개별적으로 연락하여 해당 연구보고서를 받아보고 있는 실정이다.”라며, “당시 부산복지개발원에 소속되어 근무했던 연구원들의 불편함도 이렇게 클지언데, 공개된 홈페이지 게시물을 통해 연구보고서를 확인하고 각 분야에 활용해오다가, 홈페이지 폐쇄 이후 연구보고서 활용이 불가해진 일반시민들의 불편함은 얼마나 크겠는가? 일반시민들 입장에선, 연구보고서를 어디서 어떻게 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부산시로부터 어떠한 안내도 받은 바가 없기에, 17년 간 축적되어온 부산복지개발원의 연구보고서 게시물들이 통째로 없어진 것이나 마찬가지인 상황이다.”라고 지적하였다.
그는, “본 의원도, 폐쇄된 당시 부산복지개발원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었던 연구보고서들을 구해보고자 부산시 및 출연기관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하여 검색해보았으나, 게시된 자료가 전혀 없었다.”라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모든 연구물은 축적의 결과물이다. 또한, 비공개 사유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시민의 혈세가 투입된 연구보고서는 일반시민들께 공개하는 것이 맞다. 더군다나, 17년 간이나 복지분야 연구들을 수행해온 부산시 출연기관인 부산복지개발원의 연구보고서들은 그 축적과 공개의 중요도가 더욱 크다 할 것이다.”라며,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부산복지개발원이 기능 전환된 지 1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조치하지 않았다는 것은 큰 문제이다. 지금이라도 부산시는, 부산시 및 출연기관 홈페이지에 메뉴를 추가하여 부산복지개발원의 연구보고서들을 게시함으로써, 그 축적과 공개가 중단없이 이어질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라고 강조하였다.
이종환 의원은 보도자료를 마무리하며, “부산시 복지정책과는 부산복지개발원 물품 이관, 기본재산 처분, 출연금 반납 등의 전환 절차를 마무리하기 전에, 부산시 복지분야 연구기관으로서 17년 간 축적해온 연구보고서의 인계와 게시부터 제대로 챙겼어야 했다.”라고 지적하며,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부산시민을 포함한 모든 분들께서 부산복지개발원의 연구보고서들을 중단없이 확인하고 활용하실 수 있도록 즉각 조치하라.”라고 촉구하였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