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확인된 피해는 기존에 들깨에서만 발생하던 해충이 기주 범위를 확장해 바질까지 가해하고 있는 사례로, 해충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
▲ 로즈마리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 |
스위트 바질뿐 아니라 로즈마리 등 정원수 허브에서도 유사 피해 사례가 관찰되고 있으며, 들깨잎말이명나방의 활동 시기와 맞물려 발생한 만큼 향후 레몬밤 등 꿀풀과 허브류로의 확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
▲ |
![]() |
▲ 바질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 |
유충은 식물의 잎을 직접 갉아먹고, 실을 토해 잎을 말아 그 안에 숨어 지내며 생육을 저해한다. 이로 인해 잎이 말리거나 줄기가 꺾이는 등 생리적 피해가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어린 유충은 연녹색을 띠며, 성장하면서 점차 짙은 녹색으로 변하고 검은 점이 선명해진다. 번데기 직전에는 자줏빛으로 색이 변하는 특성이 있어 유충 단계별 색 변화로 판단이 가능하다.
이희진 농업환경연구과 작물보호팀 연구사는 “텃밭이나 소규모 정원에서 스위트바질 및 허브류를 재배하는 농가 및 도시민들은 작물의 잎과 줄기를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며 “피해를 최소화 하려면 유충 발견 시 초기 방제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스위트 바질(Ocimum basilicum)은 최근 도시농업 및 반려식물 열풍과 더불어 텃밭 작물로 각광받고 있으며, 향료·약용 가치도 높아 재배 수요가 증가하는 작물이다.
[저작권자ⓒ 경기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